본문 바로가기
유튜브정리요약

국민 세금으로 지원된 4천억 원, 사찰 문화재 보조금의 실태

by 신기야 2025. 5. 11.
반응형

국민 세금으로 지원된 4천억 원, 사찰 문화재 보조금의 실태


정부가 최근 3년간 65개 사찰에 지원한 관람료 감면 및 문화재 보수 관련 예산이 4,360억 원에 달하는 가운데, 일부 사찰은 문화재 관람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막대한 보조금을 수령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국민 세금으로 지원된 4천억 원, 사찰 문화재 보조금의 실태
뉴스타파

 관람료 감면 보조금 제도의 시작

  • 2022년 문화유산법 개정으로 관람료 감면 시 정부가 보조금 지급 가능
  • 사찰과 국민 간 갈등 해소 명분으로 추진
  • 대선 직후 제도화되어 정치적 의혹 제기

 보조금 지급 현황

사찰명 최근 2년간 지원액 비고
불국사 177억 원 국보ㆍ보물 다수 보유
신흥사 99억 원 보물 포함
내장사 30억 원+ 국보ㆍ보물 없음

 문화재 없는 사찰도 수십억 지원

  • 내장사, 향일암 등은 국보/보물 미보유
  • 단풍나무나 해돋이 경관 등 자연명승 지정으로 보조금 수령

 실물 문화재 접근성 낮은 사찰

  • 구룡사, 자재암 등은 문화재 일반 비공개
  • 연 1회 또는 일주일만 공개되는 사례 다수
  • 공개 의무 없는 현실과 제도의 괴리 존재

 이중 지원 구조

  • 문화재 관람료 감면 보조금 외에 별도 보수ㆍ정비 예산 지급
  • 대표 사례: 불국사, 석굴암, 보경사 등

 국가지정 문화재 아닌 시설에도 예산 투입

  • 급수시설, 공양간, 요사채, 종무소 등 신축 비용도 포함
  • 보조금의 용처에 대한 정밀한 검토 필요

 해외 종교시설과의 비교

  • 피렌체 대성당, 세인트 폴 성당 등은 자체 수익으로 운영
  • 일부 입장료 있지만 투명한 회계 운영
  • 독일, 일본 등은 제한적 정부 지원

 제도 개선 필요성과 대안

  1. 보조금 지급 기준 명확화 및 조건부 공개 의무 부여
  2. 비문화재 시설 보조금 투입 제한
  3. 보조금의 투명한 사용내역 공개 제도화

https://youtu.be/bgk1klaBC44?si=LiHnZnvpsAjGPlO1

 

#사찰보조금 #문화재관람료 #조계종 #불국사 #국민세금 #문화유산법 #종교특혜 #뉴스타파 #정책감시

반응형